‘옛것지킴이’는 1988년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창설과 함께 시작된 동아리로, 학생들이 고고학에 대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모임을 갖기 위해 1989년 88학번과 89학번이 모여 만든 ‘고민하기(혹은 고고분과)’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1989년 1기를 시작으로 ‘고고분과’라 불리다가 1999년 ‘archae’로, 2000년부터 현재까지는 ‘옛것지킴이’로 이름을 이어오고 있다. 옛것을 사랑하고 지켜나가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다.
1989년 1기를 시작으로 ‘고고분과’라 불리다가 1999년 ‘archae’로, 2000년부터 현재까지는 ‘옛것지킴이’로 이름을 이어오고 있다. 옛것을 사랑하고 지켜나가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다.
역대 옛것지킴이 학술제 발표 주제
연도 | 주제 |
---|---|
1995 | 선사시대 토기 제작 실험 |
1996 | 선사시대 구석기 제작 실험 |
1997 | 선사시대 토기 제작 실험 |
1998 | 고인돌이란 무엇인가? |
1999 | 용암리 사지/토기 제작 및 복원 |
2000 | 청동기시대 주거지 |
2001 | 전주시 지표조사/석기 제작 실험 |
2002 | 토기 제작 실험: 첨가제에 따른 토기의 변화 |
2003 | 말하지 않는 것들과의 대화 |
2004 | 사진과 영상 |
2005 | 고고유적을 통해 본 전북지역 고대문화 완주 은하리 외관 복원 |
2006 | 구석기 시대의 석기 제작 방법과 석기 사용 실험 고찰 옹관묘: 발굴에서 전시까지 |
2007 | 토기 제작 과정에 나타나는 흔적들: 성형⋅정면 과정 중심으로 |
2008 | 20주년 특별 기획, 고고분과의 발자취 |
2009 |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 건지산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
2010 | 호남지방의 원삼국~삼국시대 식문화 탐구 |
2011 | 백제 석관묘 이전복원(남원 운교리 1호 석곽묘) 분구묘 모형 만들기(완주 상운리유적 라지구 1호분) |
2012 | 한문화재 한지킴이(금산사, 미륵사지, 왕궁리유적) 청동기시대 주거지 모형 만들기 |
2013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신지리/운곡리, 봉동읍 구만리 일대 지표조사 조선시대 회곽묘 모형 실험 |
2014 | 토기 제작 및 소성 실험 |
2015 | 남원 두락리 및 유곡리 32호분 모형 제작 |
2016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일대 지표조사 제석사지 출토 와범 제작 실험 |
2017 | 원삼국시대 장란형토기와 시루를 이용한 취사 실험 |
2018 | 후기 구석기 흑요석 석기 제작과 특징 |
2019 | 청동기시대 석기 분류 및 제작 / 장신구 제작 |
2022 | 스터디 및 고고학 영상 시청 |
2023 | 낙랑⋅백제 기와 스터디 / 수키와 제작 실험 |
2024 | 토기 제작 실험 및 실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