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령  사진
전의령
연구분야
문화인류학(한국의 이주/다문화, 동물 담론, 윤리/경제, 정치인류학)
직위(직급)
부교수
전화번호
063-270-3289
이메일
euyryung@jbnu.ac.kr
사무실
인문사회관 408호

학력

2011 미국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인류학과 PhD
2003 미국 Cornell University 아시아학과(South Asia Program) MA
2001 이화여자대학교 인문학부 사학 전공 문학사
1999~2000 Kyushu University, Japan in Today’s World Program 수료

경력

2017.2-현재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조교수, 부교수
2023.1-현재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회 운영위원
2022, 2024 한국여성학회 연구위원회 연구위원
2022.2-2024.9 전북대학교 부설 여성연구소 소장
2021.2-2022.12 전주시 사회혁신센터 성평등전주 자문위원
2019.11-2022.6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편집위원
2017.2-2018.12 한국문화인류학회 연구위원회 연구위원
2013.9-2017.2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대우조교수
2015.1-2015.2 Max Planck Institute for Ethnic and Religious Diversity 객원연구원
2012.9-2013.6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시간강사
2011.8-2012.7 University of Bayreuth 사회지리학과 Postdoc
2008.3-2009.11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객원연구원

논문·서평·기타

2024 “탈정치의 세계로 우리를 이끄는 ‘푸바오’, 북극곰, 비인간 담론들.” 「문화/과학」 2024 가을호, 175-186.
2024 "Grinding the Souls: Politics of Interspecies Pity and the Labor of Care in a South Korean Animal Shelter.” Cultural Anthropology 39(2): 298-321.
2023 “유기견 쉼터에서의 불연속적이고 파편적인 마주침들: ‘다종의 윤리’로 귀착되지 않는 비판적 에스노그래피를 위한 소고”. 「한국문화인류학」 56(3): 3-41.
2022 “The Neoliberal Precariat Encountering the Urban Poor.” Commentary on Cho, Mun Young. 2022. “The Precariat that Can Speak.” Current Anthropology 63(5): 505-506.
2022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뉴래디컬리뷰」 2022 가을호, 316-322
2022 “동물로 본 우리 사회” 「계간 철학과 현실」 134 2022 가을호, 10-57
2022 Migrant Conversions. By Erica Voge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 Journal of Anthropological Research 78(1): 142-143. (Book Review)
2022. “‘위험한 무슬림 남성’과 ‘특별기여자’: 전 지구적 인도주의 담론과 포스트 911 체제의 공모.” 「아시아리뷰」 12(1): 3-31
2021 “‘한인’을 넘어서는 이주와 젠더의 정치.” 「여성학논집」 38(2): 131-135.
2021 “‘나만 없어, 반려동물.’” 「한편」 4호 ‘동물’. 민음사, 57-70.
2020 “타자의 본질화 안에서의 우연한 연대: 한국의 반다문화와 난민반대의 젠더정치.” 「경제와 사회」 125(1): 360-401
2019 “연민과 ‘고통-나눔’: 동물복지 담론과 다종적 취약성에 관하여.” 「한국문화인류학」52(3): 3-43.
2019 “‘Voices of ordinary citizens’: Ban damunhwa and its neoliberal affect ofanti-immigration in South Korea.” Critical Asian Studies, 51(3): 386-402.
2017 “인터넷 반다문화담론의 우익 포퓰리즘과 배제의 정치” 「경제와 사회」 116(4): 140-167
2017 “‘길냥이를 부탁해’: 포스트휴먼 공동체의 생정치.” 「한국문화인류학」 50(3): 3~40
2016 “Migrant Workers Amidst the Waves of Volunteers: Participation andEmpowerment in South Korean Migrant Advocacy.” Anthropological Quarterly,89(3): 751-777.
2016 “‘The frog that has forgotten its past’: Advocating for Migrant Workers inSouth Korea.” Positions: Asia Critique, 24(3): 669-692.
2015 “‘선량한 이주민, 불량한 이주민’: 한국의 이주다문화 담론과 반다문화 담론.” 「경제와 사회」, 106(2): 238-270
2012 “‘We have to transform ourselves first’: Ethics of Liberal Developmentalismand Multicultural Governance in South Korea.” FOCAAL 64(4): 99-112.
2012 Adopted Territory. By Eleana J. Kim. Duke University Press. 2010.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71(4): 1163-1164. (Book Review)

저서

2023. 한국의 인종, 민족, 반/다문화. 동인 (공저)
2022. 동물 너머: 얽힘 고통 타자에 대한 열 개의 물음. 돌베개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2019 경계없는 페미니즘: 제주 예멘 난민과 페미니즘의 응답. 김선혜 외. 와온(공저)
2015 Multiethnic Korea: Multiculturalism, Migration, and Peoplehood Diversity in
Contemporary South Korea. John Lie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공저)
2014 푸코 효과: 통치성에 관한 연구. 이승철 외. 난장(공역)